현재 국내 기저귀, 생리대 등 제품 제조사에서 중국산 원부자재를 사용하지 않는 기업은 거의 없습니다. 그만큼 중국 기업의 국내에 대한 영향력은 클 것으로 판단합니다.
예를 들어 기저귀나 생리대의 경우 탑시트라고 하는 안감부터 겉감, 흡수시트, 고분자흡수제, 테이프, 필름 및 고무줄, 포장재까지 다양합니다.
물론 국내에도 해당 원부자재를 제조하는 기업들이 있으나 중국산 대비 견적이 높고 품질은 유사한 수준이기 때문입니다.
해당 원부자재를 공급하는 중국 기업들은 지속적으로 설비교체나 기술개발이 이루어졌고 그에 따라 새로운 원료나 개선된 원부자재가 시장에 출현하고 있으며 이런 것들이 CIDPEX 같은 전시회에 전시되면서 여러 완제품 회사 제품에 적용되어 신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완제품 회사들 또한 지속적인 설비 개선이나 교체를 통하여 기술이 개발되고 효율적으로 운영되면서 원가절감이 이루어지는 등 경쟁력이 높아졌습니다.
이번에 중국 완제품 업체에 새로운 포장자재를 사용한 제품 생산이 가능한지를 물었는데 제가 알고 있던 모든 소재의 사용이 가능한 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반면 국내 원부자재 기업은 중국 기업만큼의 활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측면이 있어 원가적으로나 전반적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이런 상황은 이 분야 뿐 아니라 최근 뉴스에 나오고 있는 석유화학기업 여천NCC 사태 등 다른 분야에서도 마찬가지로 중국산 저가 물량에 경쟁력이 떨어져 적자가 누적되면서 회사가 어려워진 것입니다.
아직도 우리 생각 중에는 중국은 부족하고 품질이 떨어지며 믿을 수 없는 제품이라는 인식이 있는 것은 사실이며 저도 마찬가지로 그렇게 생각하는 측면이 있습니다만 실제로 중국에서는 이런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해왔다고 생각하며 이런 활동이 지속될 수록 우리나라의 경쟁력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국내 여러 기업에서 중국산 원부자재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고 원부자재 뿐 아니라 기저귀나 생리대, 배변패드, 마스크 등 여러가지 제품을 대량으로 수입하여 사용하거나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도 생존을 위하여 뭔가 혁신이나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원부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생용품 등에 사용되는 펄프 원료 (0) | 2025.08.21 |
---|---|
순면부직포 (1) | 2025.08.04 |
기저귀,생리대 제작에 사용되는 핫멜트 접착제 (0) | 2024.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