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F마스크 및 덴탈마스크에 사용되는 원자재에 대해 적어보려 합니다..

원칙이 정해져있는 것은 아니지만 식약청 허가를 받기에 수월하거나 업체들이 주로 사용하는 원료들입니다.

 

1. KF마스크

KF마스크에는 그 필터 성능에 따라 80, 94, 99로 나누어지고 비말차단을 위한 AD 마스크로 분류됩니다.

- 안감 : SS(Double spunbond) 부직포 주로 20gsm 짜리 사용하거나 MF원단이라 불리는 PE/PP seath core type staple fiber를 web 상태에서 calender roll로 눌러 만든 원단을 주로 사용합니다.. 만약 SMS 원단이 구해진다면 그걸 사용하면 더 좋겠습니다만, 현재 방호복 수요때문에 SMS 및 SMMS 원단 가격이 매우 비싸고 구입하기도 힘들기 때문에 사용하기 힘듭니다.

 

- 필터 : KF94용으로 필터성능이 나오는 코로나 정전처리가 되어 있는 타입의 멜트블로운 원단(30gsm~40gsm)을 사용합니다. 해당 필터는 정전처리 방식이 건식과 습식이 있는데 습식 방식이 효율 유지가 뛰어나 습식 정전처리된 필터를 주로 사용합니다.

 

- 지지층으로 세번째 층에 안감층에 사용할 수 있다고 했던 MF 원단(L/M fiber) 층이 사용되는 제품이 있고 안감, 필터층, 겉감 층으로만 사용된 KF94마스크도 있으며 5겹구조의 KF94마스크도 있습니다.

 

- 겉감 : 겉감도 SS부직포 주로 40~50gsm 짜리를 사용합니다.

 

- 이어밴드 : 귀에 거는 고무줄 밴드로서 KF마스크용은 덴탈마스크용보다 좀 더 두꺼운 밴드를 사용합니다.  보통 두께는 3~4mm 정도이고 원형모양의 밴드와 납작한 모양의 밴드가 있습니다. 국내 제조업체 것을 사용하기도 하고 중국산을 쓰기도 합니다.

 

- 와이어 : KF마스크에는 2 CORE 4MM 짜리 와이어를 사용하고 덴탈마스크에는 1 CORE , 3MM 짜리 와이어를 사용합니다.

 

 

 

2. 덴탈마스크 및 비말마스크, 일반마스크

덴탈마스크도 구조는 KF마스크와 유사합니다..

안감을 SS 또는 MF(LM) 원단20gsm 정도를 사용하며 중간층에 20gsm정도의 정전처리 되어 있지 않은 멜트블로운 원단이 사용되고 또는 멜트블로운 사용하지 않은 제품도 있고요,, 겉감도 안감보다 좀 더 두꺼운 25~40gsm SS 원단을 사용합니다. 또한, 덴탈마스크는 겉감이 블루칼라인 경우가 있고 녹색인 제품도 있습니다..

식약처에서는 수술용마스크(덴탈)과 보건용마스크로 나누는데 일반 마스크는 공산품으로 식약청 허가를 받지는 않습니다.. 다만, 식약청에서 인증을 해준(허가를 내서 허가받은) 제품이 비말마스크입니다. 비말마스크 포장지에는 KF-AD(Anti - Droplet) 이 표시되어 있고 입자차단능력이 55~80%정도입니다.. 그리고 일반 부직포만 3겹을 사용시 20%정도의 필터링성능이 있습니다.

 

이런 마스크를 제조하는 기업이 코로나 시기에 급증하였다가 코로나가 끝나는 시점에 많은 회사들이 문을 닫았으며 품질관리 미흡으로 식약처에 행정처분을 받는 회사들도 발생되고 있습니다. 

 

 

3. 마스크 종류

1)보건용 마스크(식약처, 의약외품)

  - KF 80, 94, 99

  - KF AD

  - 수술용 마스크

 

2)방진마스크(산업안전보건법)

  - 특급, 1급, 2급

 

3)공산품 마스크

  - 일반 마스크(덴탈마스크)

  - 방한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