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의 자녀가 기저귀를 사용할때만해도 가능하면 국내산 기저귀를 사용하려고 했었습니다. '중국'하면 아무래도 못 믿겠다는 생각도 있고 물론 지금도 그 생각이 변함은 없습니다만 불안한 부분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수년간 지내오면서 국내 기저귀 제조사들은 그렇게 기저귀를 제조하여 판매해왔지만 중국 제조사들은 개선을 위하여 노력을 해왔고 새로운 설비를 도입하는 등 많은 발전을 해왔습니다. 제가 이쪽 분야에서 일해와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현재 국내 유아기저귀 제조사들을 보면 yk를 제외하고는 새로운 설비를 도입하거나 개조를 통해 신규 제품이 출시되는 경우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출산율 감소로 갈수록 판매가 줄어 생산량이 감소하고 있고 원부자재 및 각종 경비 상승으로 제품 원가는 상승되고 있어 신규 투자가 어려울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반면 중국 제조사의 경우 지속적으로 설비투자 및 신제품이 나오고 있으며 원가는 고속생산 등으로 경쟁력이 오히려 높아졌고 이는 완제품 뿐 아니라 완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원부자재 업체에도 해당되는 부분입니다.

 

제가 놀라는 부분이 예를 들어 누가 더 부드러운 기저귀를 만드는지? 확인했을때 중국 기저귀가 더 부드럽고 제품도 우수한 것이 사실입니다. 가격은 말할 것도 없습니다.

어느 중국 기저귀 회사에서는 극세사 부직포를 사용하여 기저귀를 제조하고 있고 설비도 그에 맞추어 개조 또는 신규설비를 도입하여 올해나 내년에는 국내에도 수입,판매될 예정입니다.

 

걱정되는 부분이 이렇게 되면 국내 제조사는 갈수록 신규 투자가 어려워지며 원가가 올라감에 따라 중국산 기저귀와 경쟁이 안될 것이어서 이쪽 분야도 중국에게 자리를 내줘야 하는 상황이 올 것 같은 기분입니다.

 

소비자도 이전에 저처럼 원산지를 따지기도 하겠지만 제품 특징이나 품질, 후기(평가), 가격 등도 중요시하기에 국내산 기저귀만으로 소비자의 선택을 받기에는 부족해보입니다. 현재 시장에 잘 판매되는 브랜드 기저귀들도 보면 중국 등 해외제조 기저귀들이 많습니다.

 

'기저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인용기저귀  (0) 2025.08.22
킨도 유아기저귀  (0) 2025.08.20
everylife기저귀  (4) 2025.08.17
키즈기저귀  (3) 2025.08.16
썸머 기저귀  (1) 2025.08.1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