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귀는 흡수를 목적으로 사용하며 유아용과 성인용 기저귀로 나눌 수 있고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는 비슷하고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안감(탑시트) : 피부와 접촉되는 면이고 흡수되는 성능을 가진 에어쓰루(hot air through)공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나 스펀본드 부직포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유아용에서는 주로 에어쓰루가 사용되고 성인용에서는 저가인 스펀본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에어쓰루는 단섬유 가닥을 열풍을 불어 컨베이어에 적층시키면서 결합을 시켜 만드는 원단이고 스펀본드는 원료를 녹여 원하는 원료와 두께로 뽑아내는 장섬유원단입니다. 사용 원료는 대부분 PE/PP , PE/PET 또는 PP 입니다.

2. 확산층(ADL) : 안감에서 흡수되고 난 후 확산의 목적으로 벌키(bulky)한 친수성 부직포(hot air through)가 사용되며 이는 굵은 두께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하여 섬유 밀도가 낮아 확산이 잘 될 수 있도록 역할을 합니다. 성인용 기저귀에서는 원가절감을 위하여 ADL이 사용되지 않은 제품도 있습니다.

3. 좌우 샘방지

안감 좌우 흡수체 양쪽면에 옆샘을 방지하기 위한 layer가 위치하는데 이는 수분이 흡수체로 흡수될 때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해줍니다. 주로 소수성 부직포SMS, SMMS가 사용됩니다. 어떤 제품은 해당 layer가 없는 제품도 있습니다. 이 원단과 고무줄(스판덱스)이 2~3줄 들어가서 접힌 상태로 제품에 적용됩니다.

4. 흡수체 

펄프가 분쇄되어 흡수체를 만든 후 이를 다음 공정으로 이동시킬때 corewrap이란 부직포 또는 티슈 원단이 흡수체를 감싸서 형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이때 사용되는 티슈는 carrier티슈라고도 하며 일정 통기성과 강도를 가지며 흡수체를 감싸면서 다음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설비에 따라 corewrap형태이기도 하고 흡수체 위 아래에 upper layer / bottom layer 형태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펄프는 주로 IP 펄프와 GP펄프가 주로 수입되어 흡수 제품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펄프는 Treated/semi/untreated로 나누어지며 분쇄시 각각 강도가 다르며 이에 따라 제품의 부드러움도 차이가 있고 가격도 다릅니다.

흡수력을 높이기 위하여 SAP이란 고분자흡수제도 함께 흡수체로 사용되는데 해당 원료는 수분을 흡수하는 성능이 뛰어나서 유아용/성인용에서 모두 사용되고 있는 원료입니다.

기저귀에서는 많은 수분을 흡수, 보유해야 하므로 SAP이 사용되어야 합니다.

5. 방수층/cover부직포

수분이 흡수된 후에도 착용 중 샐 가능성이 있으므로 PE필름이 흡수체 아래면에 방수층으로 사용됩니다. 주로 통기성을 가진 PE필름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통기성 필름은 필름 제조시 PE와 탄산칼슘을 혼합하여 미세 기공을 만들어준 필름으로 보시면 됩니다. 기저귀를 오랫동안 교체하지 않으면 기저귀 겉으로 축축한 느낌을 받을 수 있는데 그 이유입니다. 유아 기저귀의 경우 주로 해당 필름에 디자인을 인쇄합니다.

추가로, 방수 필름 외부로 피부에 접촉되는 부분에 부직포가 결합되어 사용됩니다.(cover부직포)

6. Inner/outer/endsheet 등 부직포

피부와 접촉되는 부위로서 부드러운 스펀본드 SSS급 재질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부드러움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극세사급(1d 이하, 0.8d 등) 원단을 사용하며 그럴 수록 더욱 부드러운 기저귀가 되며 추가로 메쉬타입(구멍이 있는) 원단을 사용하거나 친수성을 가진 원단을 사용함으로서 통기성 등 특징을 가질 수 있습니다.

7. 열용융접착제

위 각각의 원자재간 결합을 위하여, 그리고 해당 제품에서는 스판덱스라고 하는 고무줄이 사용되는데 이들의 패드와의 결합을 위하여 위생재용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요변선이라고 하는 부분도 접착제타입니다. 일부 성인용 기저귀 교체패드(속기저귀)에서는 생리대처럼 방수층 필름층에 고정용 핫멜트 접착제가 부여되어 있는 제품도 있습니다.

8. 뒷처리테이프

유아기저귀에는 cover부직포면에 붙여져서 제품 사용 후 말아 버리기 쉽도록 사용되는 테이프이며 일부 성인용 기저귀 제품에서도 해당 테이프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9. 고무줄

유아기저귀에서는 waistband, tummy, leg cuff, leg band(s curve) 에서 고무줄(spandex)가 사용되고 있고 성인용 기저귀에서는 겉기저귀는 유아와 동일/유사한 부분에서, 속기저귀교체패드는 leg cuff , leg band 부분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고무줄은 라이크라, 효성, 태광 등에서 제조하고 있고 두께가 얇을수록 기저귀 감촉이 좋고 자국이 생기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기존보다 얇은 고무줄을 사용한 기저귀 제품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핫멜트(hotmelt) 라고 하는 접착제가 기저귀나 생리대 제조시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래 사진처럼 반투명한 고체 상태 덩이를 녹이면 겔상태가 되는데 이것을 분사하거나 원자재에 묻혀 사용하고 있습니다.

접착제가 여러 종류가 있지만 이것은 위생용품에 사용되는 접착제로서 수십년간 사용되어 온 원료입니다.

 

종류별로 나누면 제품 제조시 각종 원자재 layer간 결합을 위하여 spray형태로 부여하는 구조용 핫멜트와 생리대 패드의 경우 속옷에 붙여야 하여 일정 영역 형태에 접착력이 부여되는 position 핫멜트, 그리고 기저귀와 같이 고무줄이 사용되는 경우 고무줄(spandex)을 패드에 붙여야 하는데 이때 부착하는 목적으로 elastic 핫멜트라는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고 추가로 기저귀에 보면 겉면에 노란색 줄이 표시되어 있는 제품을 볼 수 있는데 요변선이라고 하여 수분이 닿으면 색상이 파란색으로 변하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도 접착제입니다.

해당 접착제들은 열을 가하면 녹고 식으면 쉽게 굳는 성질이 있으며 용도별로 사용되는 원료가 일부 다르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포장지 전성분 표시에 보면 대부분 동일하게 열용융형접착제 : 스티렌블록공중합체, 탄화수소수지, 파라핀계탄화수소 이렇게 표기되어 있고 일부 추가되는 원료들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습니다.

약간 황색을 띄고 냄새가 있으며 applicator라는 탱크에서 약 150도 전후로 온도를 높여 액상으로 만든 후 펌프에서 정해진 속도 rpm으로 밀어내면 호스를 따라 지정된 곳으로 공급되고 노즐을 통해 압축공기로 불어주면서 패드에 일정량만큼씩 부여됩니다.

applicator에서 tank, hose, nozzle등의 온도를 각각 조절하고 rpm 조정을 통해 부여되는 핫멜트 부분별로 분사량 및 사용 온도를 관리합니다.

 

부여되는 방식도 construction 핫멜트는 spray처럼 분사되면서 부여되고 position핫멜트는 지정된 폭과 길이를 단속으로 부여하며 stick형태로 일정량씩 뿌려지면서 부여되기도 합니다. elastic핫멜트는 고무줄이 노즐을 통과하면서 일정량씩 묻어져 나가는 형태로 핫멜트가 부여됩니다.

원료는 헨켈이라는 다국적 기업 원료가 있고 이레, 삼정, 대양, HB fuller 등이 있으며 핫멜트 설비 업체로는 노드슨과 국내업체도 있고 ndc 같은 중국업체도 있습니다. 부품이 호환이 잘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부품가격이 고가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제품에서 접착제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산성, 불량 및 성능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고가의 검증된 제품을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무리 위생용품/의약외품에 사용되는 무해한 접착제라고 하더라도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물질이므로 voc등의 이슈로부터 자유롭지는 못할 것이며 완제품 판매 중에 이런 접착제 관련 클레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최고의 관련 설비와 생산 조건 설정이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다회용 기저귀 생리대를 제외한 해당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 제품이 개발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원부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 원료 안전성 경쟁력 고민  (0) 2025.09.04
천연펄프 원료(기저귀, 생리대 용)  (0) 2025.08.21
순면 원단 부직포 제조  (1) 2025.08.0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