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시기에 의무적으로 사용했던 마스크에서 건강을 위협하는 시한폭탄이라는 자극적인 표현의 뉴스 기사를 보았습니다. 어떤 내용인가 하고 기사를 확인하였더니 영국의 어떤 대학에서 여러 종류의 마스크를 정제수에 24시간동안 담가놓은 후 발생되는 물질을 조사하였더니 미세플라스틱과 건강을 위협하는 화학물질이 검출되었다는 것입니다.

 

지난번 생리대에서도 어느 기업이 생리대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발생되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고 자극적인 기사를 계속 내면서 해당 기업을 홍보하던 이와 유사한 기사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제가 이 기사를 보면서 궁금한 것은 마스크를 착용 중에도 미세플라스틱이나 내분비 교란 물질 등이 방출되는지의 여부인데 그게 아니라 사용하고 난 마스크가 버려진 후 이런 마스크에서 미세플라스틱이나 유해 화학물질이 발생되었다는 것은 그리 놀랍지는 않습니다.

 

왜냐하면 마스크도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소재이고 플라스틱 원료로 만들어졌다가 폐기 또는 매립되는 제품이나 이런 것들이 수없이 많은데 이런 것들에서도 미세플라스틱 뿐 아니라 다른 유해 물질도 방출이 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런 미세플라스틱같은 물질이 버려진 후 높은 온도에서 더 쉽게 발생되거나 많이 검출이 될 것인데 몇 도 물에서 담갔었는지에 대한 내용도 없이 단순히 마스크에서 발생되었다고 자극적인 제목과 기사내용으로 뉴스기사를 만들었다고 생각됩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려고 펼쳤을때 특유의 화학약품 냄새가 나던데 그게 어떤 것인지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지 이런 기사가 나왔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요즘에도 지하철이나 버스를 탈때는 항상 마스크를 착용하는데 이런 냄새가 나는 것을 알기에 바로 착용하지 않고 공기 중에서 털거나 불어서 최대한 냄새를 줄이고 착용하고 있긴 합니다.

 

 

요즘 코로나 환자가 일부 늘어나고 있다고 하던데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라기보다는, 나 자신을 지키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착용하는데 이런 기사를 보면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

 

그런데 이 기사에 달린 댓글을 보니 제가 예상했던 것과 유사한 글이 달려 있었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면 미세플라스틱이나 유해물질이 나온다는데 바보처럼 마스크를 왜 쓰고 다니냐 이런 글이었습니다. 이런 글만 보아도 뉴스 제목이나 내용이 얼마나 중요한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296/0000092859?sid=103 

 

코로나19 마스크, 건강 위협하는 ‘시한폭탄’이라고?…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인류를 보호해 줬던 장비가 인류를 위협하는 시한폭탄이 되고 있다. 바이러스 침입을 막아준 마스크가 앞으로 여러 세대에 걸쳐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

n.news.naver.com

 

수년 전 어떤 기업이 대학교수와 어느 특정 생리대 제품이 유해하다는 내용의 기사를 터트려서 해당 기업의 제품 판매 및 이미지에 큰 타격을 입히고 사회적으로 이슈를 만든 적이 있습니다. 

생리대는 의약외품으로 식약처 약사법 기준에 따라 적법하게 제조 판매되고 있는데 어떤 특정 이슈로 소비자에게 불안을 주어 공포심을 유발하게 하고 자사 제품은 안전하니 우리 제품을 사용하라는 식의 마케팅을 하는 것입니다.

 

작년경부터 추가적인 유사 내용이 뉴스기사에 올라오고 있었는데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첫째로 생리대에 세포독성시험을 했을 때 70% 또는 80% 이상 균이 살아있어야 독성이 없다고 판단하는데 그 이하로 값이 나올 경우 독성이 있다고 판단하는데 그 기준치 이하로 나와서 유해하다, 모든 제품에 대하여 세포독성시험을 해야 한다는 내용입니다. 

 

약사법에서 세포독성시험은 생리대내 신물질이나 신소재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식약청 검토자료로 해당 시험을 요청하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는 건인데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모든 제품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며 특히 인체에 흡수되어 축적될 경우에 유해할 수 있다는 내용을 체외에서 사용하는 생리대에서도 검출되니 유해할 수 있다고 하여 소비자를 불안하게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아 보입니다. 

생리대에서는 대부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이 부직포나 필름 및 포장재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뉴스 기사에서 생리대별로 미세플라스틱 개수 차이가 발생되는 것은 유기농생리대라고 해도 날개부분까지 유기농면을 사용한 제품과 그렇지 않은 제품으로 나누어지는데 날개부분까지 유기농면을 사용한 제품이 미세플라스틱 개수가 적으며 또한, 제조 후 장기간 방치할 경우 일부 분해되어 개수가 증가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세플라스틱 관련해서는 그것보다 우리가 자주 마시는 생수나 커피 컵, 종이 컵 등이 더 유해하다고 생각되는데 알면서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세번째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수년 전 이슈화하여 특정 기업에서 타격을 받았던 건인데 그 사건으로 인하여 식약처에서 주기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국내외 제품에 대하여 검사를 하여 해당 안전성에 대하여 발표를 하고 있으며

올해 발표된 보도자료에서도 모두 안전한 것으로 발표하였는데 유해 할 수 있다 라고 기사까지 여기저기에 올리는 것은 이를 이슈화하려는 것처럼 보입니다.

 

 

출처 : 식약처 홈페이지 의약외품 자료실

+ Recent posts